업무 관련/엑셀

[Search, Find] 찾으려는 글자는 전체 글자 중에서 몇 번째 위치에 있는가

해보려는사람 2023. 9. 18. 09:16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오늘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두 함수에 대한 글입니다.

다음에 쓸 글은 "규칙성이 있는 텍스트에서 원하는 글자를 뽑아내는 방법"인데요.
그 글에서 다룰 search 함수와 find 함수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

2023.10.04 - [업무 관련/엑셀] - 규칙이 있는 짧은 문장에서 원하는 글자 추출하기

 

 

공통점과 차이점 

공통점

Search와 Find는
"특정 글자 중에서 찾으려는 글자가 왼쪽에서 몇 번째에 있는지"를 찾아주는 함수입니다.
또한, 반복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왼쪽→오른쪽 찾아가며 가장 처음 나타나는 위치를 표기합니다.

 

차이점

 두 함수에는 아주 작은 차이점이 있습니다.

Search 함수는 대/소문자 구분하지 않고 글자의 위치를 찾아주는데,
Find 함수는 대/소문자를 구분해서 글자의 위치를 찾는다는 것이죠.

 

728x90

 

설명

=search(find_text, within_text, [start_num])
=find(find_text, within_text, [start_num])

 

search함수와 find함수의 구조는 동일합니다.

  • find_text : 찾으려는 글자
    • "따옴표" 안에 찾으려는 글자를 직접 입력해도 되고,
      셀을 지정해서 셀에 입력된 글자를 찾게 할수도 있습니다.

  • within_text : 찾으려는 셀
    • 찾으려는 글자를 어디서 찾을건지 지정합니다.
    • "따옴표" 안에 전체 글자를 직접 입력해도 되고,
      전체 글자가 입력된 셀을 지정해도 됩니다.

  • start_num : 왼쪽에서 몇 번째 글자부터 찾기를 시작할지 지정
    • start_num을 지정하지 않으면 무조건 왼쪽 첫번째 글자부터 셈을 시작합니다.
      start_num을 지정하면 셀 안에 find_text가 왼쪽 첫번째부터 반복되더라도
      start_num으로 지정된 순서부터 찾습니다.

 

start_num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맨 왼쪽→오른쪽 찾으면서 제일 처음 나오는 위치를,
start_num을 지정했다면 start_num부터 왼쪽→오른쪽 찾아나가며 가장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찾아줍니다.

값을 찾을 수 없을 때에는 #VALUE! 에러코드가 나타납니다.

 

반응형

 

Search 와 Find 의 비교

그러면 search 함수와 find 함수의 사용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기억해주세요!
두 함수의 차이는 "대/소문자 구분 여부"입니다.

 

 

search 와 find 의 비교

 

TEAM(대문자)을 찾은 결과는 파란색이고
team(소문자)을 찾은 결과는 빨간색입니다.

 

Search 함수는 대/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아서 찾을 위치만 조정해보았습니다.

=search("team", 셀 주소)
대/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"team"과 "TEAM"을 동일하게 인식했고,
맨 왼쪽에서부터 위치를 찾으니 team이든 TEAM이든 가장 앞에 있는 단어의 위치를 알려줬습니다.

=search("team", 셀 주소, 10)
10번째 글자부터 "team" 혹은 "TEAM"을 찾아 가장 먼저 나오는 위치를 알려줬습니다.
1~9번째 위치에는 find_text가 있더라도 무시합니다.

 

Find 함수는 대/소문자를 구분해보았습니다.

=find("team", 셀 주소)
맨 왼쪽에서부터 소문자로 된 "team"이라는 글자만 찾아서 위치를 알려줬습니다.

=find("TEAM", 셀 주소)
맨 왼쪽에서부터 대문자로 된 "TEAM"이라는 글자만 찾아서 위치를 알려줬습니다.

 

find함수 역시 search처럼 start_num을 설정해주면 그 기준 이후부터 글자를 찾습니다.
start_num에 대해서는 search함수에서 써봤으니 find에서도 쉽게 응용하실 수 있을거에요.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